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자취준비
- leetcode
- 정보
- 동적계획법
- 후니의쉽게쓴시스코라우팅
- 후니의쉽게쓴시스코네트워킹
- 사회초년생
- 취업사실신고
- IT기초
- 정보처리기사개정
- 막대기자르기
- 실업급여
- HeadFirstDesignPatterns
- 네트워크
- 캡쳐링
- 자료구조
- 코딩테스트
- 회사폐업
- C++
- 알고리즘
- 프로그래머스
- 실업인정인터넷신청
- 순열
- 모여봐요동물의숲
- 생애첫계약
- 전화영어
- array
- 청년내일채움공제
- 튜터링
- 부분합알고리즘
- Today
- Total
따봉도치야 고마워
[프로그래머스] 불량 사용자 본문
문제 설명
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64064
코딩테스트 연습 - 불량 사용자
개발팀 내에서 이벤트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무지는 최근 진행된 카카오이모티콘 이벤트에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당첨을 시도한 응모자들을 발견하였습니다. 이런 응모자들을 따로 모아 불량 ��
programmers.co.kr
개발팀 내에서 이벤트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무지는 최근 진행된 카카오 이모티콘 이벤트에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당첨을 시도한 응모자들을 발견하였습니다. 이런 응모자들을 따로 모아 불량 사용자라는 이름으로 목록을 만들어서 당첨 처리 시 제외하도록 이벤트 당첨자 담당자인 프로도에게 전달하려고 합니다. 이때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사용자 아이디 중 일부 문자를 '*' 문자로 가려서 전달했습니다. 가리고자 하는 문자 하나에 '*' 문자 하나를 사용하였고 아이디 당 최소 하나 이상의 '*' 문자를 사용하였습니다.
무지와 프로도는 불량 사용자 목록에 매핑된 응모자 아이디를 제재 아이디 라고 부르기로 하였습니다.
예를 들어, 이벤트에 응모한 전체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다음과 같다면
응모자 아이디
frodo |
fradi |
crodo |
abc123 |
frodoc |
다음과 같이 불량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전달된 경우,
불량 사용자
fr*d* |
abc1** |
불량 사용자에 매핑되어 당첨에서 제외되어야 야 할 제재 아이디 목록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.
제재 아이디
frodo |
abc123 |
제재 아이디
fradi |
abc123 |
이벤트 응모자 아이디 목록이 담긴 배열 user_id와 불량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담긴 배열 banned_i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당첨에서 제외되어야 할 제재 아이디 목록은 몇 가지 경우의 수가 가능한 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user_id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8 이하입니다.
- user_id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길이가 1 이상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.
- 응모한 사용자 아이디들은 서로 중복되지 않습니다.
- 응모한 사용자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와 숫자로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- banned_id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user_id 배열의 크기 이하입니다.
- banned_id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길이가 1 이상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.
- 불량 사용자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와 숫자, 가리기 위한 문자 '*'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- 불량 사용자 아이디는 '*' 문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습니다.
- 불량 사용자 아이디 하나는 응모자 아이디 중 하나에 해당하고 같은 응모자 아이디가 중복해서 제재 아이디 목록에 들어가는 경우는 없습니다.
- 제재 아이디 목록들을 구했을 때 아이디들이 나열된 순서와 관계없이 아이디 목록의 내용이 동일하다면 같은 것으로 처리하여 하나로 세면 됩니다.
입출력 예
user_id / banned_id / result
["frodo", "fradi", "crodo", "abc123", "frodoc"] | ["fr*d*", "abc1**"] | 2 |
["frodo", "fradi", "crodo", "abc123", "frodoc"] | ["*rodo", "*rodo", "******"] | 2 |
["frodo", "fradi", "crodo", "abc123", "frodoc"] | ["fr*d*", "*rodo", "******", "******"] | 3 |
입출력 예 #1
문제 설명과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2
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.
frodo | frodo | |
crodo | crodo | |
abc123 | frodoc |
입출력 예 #3
다음과 같이 세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.
frodo | fradi | fradi | ||
crodo | crodo | frodo | ||
abc123 | abc123 | abc123 | ||
frodoc | frodoc | frodoc |
풀이
1) 순열 사용
- banned_id와 매핑되는 전체 순열 구하기
- 위에서 구한 순열 정렬해서(중복체크하기 위해) HashSet에 넣어주기
- 최종적으로 set.size() 리턴
*순열 알고리즘 관련 포스팅 : https://bb-dochi.tistory.com/55
import java.util.*;
class Solution {
String[] regex_id;
HashSet<String> set;
public int solution(String[] user_id, String[] banned_id) {
int answer = 0;
set = new HashSet<>();
regex_id = new String[banned_id.length];
//1.banned_id 정규표현식으로 변경
for(int i=0; i<banned_id.length; i++){
regex_id[i] = banned_id[i].replace('*','.');
}
//2.순열
permutation(user_id, 0, banned_id.length);
return set.size();
}
public void permutation(String[] list, int depth, int r){
if(depth == r){
String[] arr = Arrays.copyOf(list, r);
Arrays.sort(arr);
String key = "";
for(int i=0; i<r; i++){
key += arr[i];
}
set.add(key);
return;
}
//매핑되는 순열 구하기
for(int i=depth; i<list.length; i++){
if(list[i].matches(regex_id[depth])){
swap(list, depth, i);
permutation(list, depth+1, r);
swap(list, depth, i);
}
}
}
public void swap(String[] list, int a, int b){
String temp = list[a];
list[a] = list[b];
list[b] = temp;
}
}
2) dfs와 비트마스크 사용
- 1번과 비슷한 느낌이지만, swap 해서 전체 리스트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
- String이 아닌 비트마스크를 사용해 방문 여부를 체크 + 중복 체크를 한다
import java.util.*;
class Solution {
String[] regex_id;
HashSet<Integer> set;
public int solution(String[] user_id, String[] banned_id) {
int answer = 0;
regex_id = new String[banned_id.length];
set = new HashSet<>();
//banned_id 정규표현식으로 변경
for(int i=0; i<banned_id.length; i++){
regex_id[i] = banned_id[i].replace('*','.');
}
//dfs로 탐색
dfs(user_id, 0, banned_id.length, 0);
return set.size();
}
public void dfs(String[] list, int depth, int r, int bit){
if(depth == r){
set.add(bit);
return;
}
for(int i=0; i<list.length; i++){
//해당 ID가 정규표현식에 매핑되고 사용되지 않았을 때 (비트의 인덱스 위치로 판별)
if(list[i].matches(regex_id[depth]) && ((bit >> i) & 1) == 0){
dfs(list, depth+1, r, (bit | 1 << i));
}
}
}
}
셀프 피드백
- 범위가 적으면 완탐문제라고 생각하자 //효율성부터 따지면 시간 부족할 수 있음
- 비트마스크 자세히 알아보자! 잘 쓰면 엄청 편리할 것 같다